물고기들의 학명을 보면 라틴어이다 보니 무슨 암호 같을 때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그 종명에는 그 종에 대한 정보도 들어있고 어떠한 규칙도 있습니다.
저도 거의 18년전쯤에 분류학을 배우기는 했지만 다 까먹고 기억이 잘 안나더군요
짬짬이 여기저기 정보를 찾아 정리했던것입니다.
제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도 있을 테고 조금 더 부연설명이 필요할수도 있으니 개의치 마시고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일반적인 규칙
종의 명명 규칙은 식물 동물 미생물등 약간씩 다릅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는 속명 종명 명명자의 순으로 쓰입니다. 명명자는 주로 생략되는 편이고요..
다들 아시다시피 생물 분류는 종(species) 속 (genus) 과(family) 목(order) 강(class) 문(phylum/division) 계(kingdom) 순으로 큰 범주를 나눕니다.
코리도라스 중 유명한 아돌포이의 분류는
Animalia (Kingdom)
Chordata (Phylum)
Vertebrata (Subphylum)
Pisces (Group) 어류
Actinopterygii (Class)
Siluriformes (Order)
Callichthyidae (Family)
Corydoras (Genus)
adolfoi (Species) 종명은 대문자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http://www.zoobank.org 에서 원하시는 종의 상위분류체계를 쉽게 찾아 보실수 있습니다.
바바투스가 속한 Scleromystax와 스플렌던스가 속한 Brochis는 속명부터 다른종입니다.
초기에 코리도라스로 분류가 되어 코리도라스라고 불리기는 하지만 속명부터 다른 종들인것이죠.
조만간 엘레강스등이 속한 새로운 속이 만들어질 예정이라고 합니다.
전에 쏴3님이 올려주신 글에 보면 일반적으로 종명 뒤에 붙는 약어들에 대한 설명이 나옵니다

여기서 다시 간단히 요약하면 ..
aff. = 라틴어 affinis의 약자입니다. 비슷하다는 의미죠.. aff. XXX 라고 하면 XXX라는 종과 유사한데 같은종인지는 아직 모르겠다는 의미입니다.
cf. = confer, to compare. cf. burgessi 라고 하면 burgessi라는 종과 작은 차이가 있고 비슷하다. 하지만 다른종으로 구분하기에 충분한 차이가 있다 라는 의미입니다.
sp. = species. 이것은 속(genus)명 뒤에 붙게 되는데 속까지는 확실하고 종의 명명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이렇게 표시합니다.
spp.= sp.의 복수형입니다.
var. 변이를 뜻하는 말입니다. 뒤에 다른 종으로 구분되기도 합니다.
설명에서도 보다시피 정확한 종명이 붙기전에 임시적으로 쓰이는 경향이 강합니다.
2. 코리도라스 종명의 의미
종명은 대개 라틴어에서 유래하였다고 보시면 됩니다. 처음에는 라틴어 단어의 뜻을 몰라 암호같이 느껴지지만 익숙해지면 이름만으로 그 종의 몇가지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코리도라스의 속명 Corydoras는 Cory(=helmet)+doras(skin)의 합성어입니다. 즉 헬멧처럼 딱딱한 피부를 갖는 어종이란 의미입니다.
2.1 형태에서 유래한 종명
가장 흔한 코리인 Corydoras aeneus에서 아에네우스는 라틴어로 청동을 뜻하는 말입니다. 색깔이 청동(bronze) 같다는 데서 명명이 된것입니다. 또 다른 예로 Corydoras arcuatus는 등 밴드가 활처럼 생겨서 라틴어의 활을 의미하는 arc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듀플리카레우스는 아돌포이와 중복(duplicate)된다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입니다.
2.2 사람의 이름에서 유래한 종명
axelodi, burgessi, weitzmani, sterbai 등은 코리도라스를 연구한 어류학자 (Herbert Axelrod, Warren E. Burgess, Stanley Weitzman, Günther Sterba)들의 이름을 딴 명칭입니다.
이 사람 이름을 딴 어종은 코리도라스 이외에도 아주 많습니다. 대개는 자기가 명명한 종에 자기이름을 부치지는 않고 동료 연구자들이 부쳐주는 경향이 강합니다. 남자인 경우에는 어미에 i가 붙고 여자인 경우는 e가 붙습니다.
davidsandsi의 경우는 David D. Sands(듀플리의 명명자입니다.)의 이름을 딴것인데 이 사람이 프랑스어권 사람이기 때문에 데이비드샌드시라고 읽으면 안되고 다비드상드시라고 불러야 정상이라고 합니다.
이밖에도 학자가 아닌사람의 이름을 붙인 경우도 있는데 브라질의 코리도라스를 수출하던 업자의 부인 Robine Schwartz의 이름을 딴 로비니아에(꼬리의 수평밴드가 인상적인 종)에도 있습니다. 인기종인 adolfoi도 Adolfo Schwartz의 이름을 딴것인데 Robine Schwartz의 아들입니다. 아버지가 죽고 어머니와 열대업 수출업을 지속했다고 합니다. 버지니아에의 경우도 Virginia Schwartz(아돌포 슈왈츠의 부인)를 딴것입니다.
2.3 지명에서 유래한 종명
코리도라스의 원산지는 모두 아마존강이지만 지류에는 다른 이름이 붙습니다.
채집된 지류명이 종명이 된 경우도 많습니다.
Corydoras loretoensis - Lorento는 페루의 지명
Corydoras napoensis - 에쿠아도루와 페루의 Rio Napo(리오는 강(river)라는 의미)
Corydoras oiapoquensis - 브라질의 Oiapoque(Oyapock) River
Corydoras negro - 볼리비아의 리오 네그로
Corydoras xinguensis - 브라질의 Rio xingu
Corydoras guapore - 브라질의 Rio Guapore
-ensis라는 어미가 많이 붙는데 라틴어로 place란 뜻입니다.
그 밖에 국가명에서 딴 종명도 있습니다.
Corydoras venezuelanus, Corydoras surinamensis
코리도라스 종명의 정확한 발음과 어원은 http://www.planetcatfish.com/catelog/genus.php?genus_id=1 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 담뽀뽀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10-23 03:55)
그렇지만 그 종명에는 그 종에 대한 정보도 들어있고 어떠한 규칙도 있습니다.
저도 거의 18년전쯤에 분류학을 배우기는 했지만 다 까먹고 기억이 잘 안나더군요
짬짬이 여기저기 정보를 찾아 정리했던것입니다.
제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도 있을 테고 조금 더 부연설명이 필요할수도 있으니 개의치 마시고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일반적인 규칙
종의 명명 규칙은 식물 동물 미생물등 약간씩 다릅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는 속명 종명 명명자의 순으로 쓰입니다. 명명자는 주로 생략되는 편이고요..
다들 아시다시피 생물 분류는 종(species) 속 (genus) 과(family) 목(order) 강(class) 문(phylum/division) 계(kingdom) 순으로 큰 범주를 나눕니다.
코리도라스 중 유명한 아돌포이의 분류는
Animalia (Kingdom)
Chordata (Phylum)
Vertebrata (Subphylum)
Pisces (Group) 어류
Actinopterygii (Class)
Siluriformes (Order)
Callichthyidae (Family)
Corydoras (Genus)
adolfoi (Species) 종명은 대문자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http://www.zoobank.org 에서 원하시는 종의 상위분류체계를 쉽게 찾아 보실수 있습니다.
바바투스가 속한 Scleromystax와 스플렌던스가 속한 Brochis는 속명부터 다른종입니다.
초기에 코리도라스로 분류가 되어 코리도라스라고 불리기는 하지만 속명부터 다른 종들인것이죠.
조만간 엘레강스등이 속한 새로운 속이 만들어질 예정이라고 합니다.
전에 쏴3님이 올려주신 글에 보면 일반적으로 종명 뒤에 붙는 약어들에 대한 설명이 나옵니다

여기서 다시 간단히 요약하면 ..
aff. = 라틴어 affinis의 약자입니다. 비슷하다는 의미죠.. aff. XXX 라고 하면 XXX라는 종과 유사한데 같은종인지는 아직 모르겠다는 의미입니다.
cf. = confer, to compare. cf. burgessi 라고 하면 burgessi라는 종과 작은 차이가 있고 비슷하다. 하지만 다른종으로 구분하기에 충분한 차이가 있다 라는 의미입니다.
sp. = species. 이것은 속(genus)명 뒤에 붙게 되는데 속까지는 확실하고 종의 명명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이렇게 표시합니다.
spp.= sp.의 복수형입니다.
var. 변이를 뜻하는 말입니다. 뒤에 다른 종으로 구분되기도 합니다.
설명에서도 보다시피 정확한 종명이 붙기전에 임시적으로 쓰이는 경향이 강합니다.
2. 코리도라스 종명의 의미
종명은 대개 라틴어에서 유래하였다고 보시면 됩니다. 처음에는 라틴어 단어의 뜻을 몰라 암호같이 느껴지지만 익숙해지면 이름만으로 그 종의 몇가지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코리도라스의 속명 Corydoras는 Cory(=helmet)+doras(skin)의 합성어입니다. 즉 헬멧처럼 딱딱한 피부를 갖는 어종이란 의미입니다.
2.1 형태에서 유래한 종명
가장 흔한 코리인 Corydoras aeneus에서 아에네우스는 라틴어로 청동을 뜻하는 말입니다. 색깔이 청동(bronze) 같다는 데서 명명이 된것입니다. 또 다른 예로 Corydoras arcuatus는 등 밴드가 활처럼 생겨서 라틴어의 활을 의미하는 arc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듀플리카레우스는 아돌포이와 중복(duplicate)된다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입니다.
2.2 사람의 이름에서 유래한 종명
axelodi, burgessi, weitzmani, sterbai 등은 코리도라스를 연구한 어류학자 (Herbert Axelrod, Warren E. Burgess, Stanley Weitzman, Günther Sterba)들의 이름을 딴 명칭입니다.
이 사람 이름을 딴 어종은 코리도라스 이외에도 아주 많습니다. 대개는 자기가 명명한 종에 자기이름을 부치지는 않고 동료 연구자들이 부쳐주는 경향이 강합니다. 남자인 경우에는 어미에 i가 붙고 여자인 경우는 e가 붙습니다.
davidsandsi의 경우는 David D. Sands(듀플리의 명명자입니다.)의 이름을 딴것인데 이 사람이 프랑스어권 사람이기 때문에 데이비드샌드시라고 읽으면 안되고 다비드상드시라고 불러야 정상이라고 합니다.
이밖에도 학자가 아닌사람의 이름을 붙인 경우도 있는데 브라질의 코리도라스를 수출하던 업자의 부인 Robine Schwartz의 이름을 딴 로비니아에(꼬리의 수평밴드가 인상적인 종)에도 있습니다. 인기종인 adolfoi도 Adolfo Schwartz의 이름을 딴것인데 Robine Schwartz의 아들입니다. 아버지가 죽고 어머니와 열대업 수출업을 지속했다고 합니다. 버지니아에의 경우도 Virginia Schwartz(아돌포 슈왈츠의 부인)를 딴것입니다.
2.3 지명에서 유래한 종명
코리도라스의 원산지는 모두 아마존강이지만 지류에는 다른 이름이 붙습니다.
채집된 지류명이 종명이 된 경우도 많습니다.
Corydoras loretoensis - Lorento는 페루의 지명
Corydoras napoensis - 에쿠아도루와 페루의 Rio Napo(리오는 강(river)라는 의미)
Corydoras oiapoquensis - 브라질의 Oiapoque(Oyapock) River
Corydoras negro - 볼리비아의 리오 네그로
Corydoras xinguensis - 브라질의 Rio xingu
Corydoras guapore - 브라질의 Rio Guapore
-ensis라는 어미가 많이 붙는데 라틴어로 place란 뜻입니다.
그 밖에 국가명에서 딴 종명도 있습니다.
Corydoras venezuelanus, Corydoras surinamensis
코리도라스 종명의 정확한 발음과 어원은 http://www.planetcatfish.com/catelog/genus.php?genus_id=1 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 담뽀뽀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10-23 03:55)